본문 바로가기

창고

[스크랩] 곽미성 "새로 시작하는 사람을 향한 동경"

320x100

에세이 『다른 삶』

 

“20년을 이방인으로 살다 보면, 이방인이 정체성이 된다(139)”고요. 이방인의 정체성이란 구체적으로 무엇일까요

저에게 이방인은 낯선 존재, 본래 그곳에 속하지 않았던 사람이라는 의미예요. 스무  이후부터   곳에서  다른 존재 여겨지며 살다보니 이제 저를 다르게 보는 시선에 익숙하고 때로는 편안하기까지 하다는  깨달았어요.

 

나를 아는 사람이 없는 곳에서 낯선 존재가   느낄  있는 해방감과 자유를 놓지 못하는  같아요


오랜 기간 영화감독을 꿈꾸셨다고요. 낯선 나라로 불쑥 유학을 떠났을 정도로 영화가 좋았던 이유가 무엇인가요

 

결국 다른  대한 관심이었던  같아요. 어두운 공간에서 스크린에 빛이 영사될   흡입력이 엄청났어요. 두세 시간 동안은 영화에 몰입해 타인의 삶을 함께 살아보고, 고민하는 경험이 너무 매력적이었죠. 내가 처한 현실은 비루하고생활은 단순하게 흘러가지만 영화를 통해 세상의 다양한 삶을 만날  있는  좋았어요.

 

http://ch.yes24.com/Article/View/48303

 

곽미성 "새로 시작하는 사람을 향한 동경" | YES24 채널예스

원고를 완성할 무렵에 불현듯 깨달았어요. 자신의 의지로 선택해 새로 시작하는 삶은 ‘이전과 다른 삶’이기도 하지만, ‘다수의 삶’과도 다르기 쉽다는 걸요. (2022.03.25)

ch.yes24.com

 


내가 왜 자꾸 이방인이 되는지에 대해 되게 공감이 가서 스크랩하게 된 인터뷰.

영화에 대한 대답도 흥미로웠다.

 

728x90
반응형